지난달 26일 LIG넥스원 구미하우스 내 양산시설에 개발 중인 CIWS-II가 전시돼 있다. LIG넥스원 제공 "바다가 없는 내륙 도시 경북 구미에서 실제 함정의 흔들림을 재현하며 최종 방어 시스템의 눈과 두뇌를 단련합니다."지난달 26일 LIG넥스원 구미하우스에서 열린 근접방어무기체계(CIWS-II) 생산시설 준공식에서 CIWS-II 개발단 팀장이 참석자들에게 이렇게 설명했다.내륙 한가운데서 어떻게 실제 파도의 영향을 테스트할 수 있을까? 궁금증이 폭발했다. 그 비밀은 바로 상식을 뛰어넘는 최첨단 시뮬레이션 기술에 있었다.◆ 1단계: 지상에서 '인공 태풍'을 만들다 〈함요동 모의 장치〉행사장에 들어서자 거대한 기계 위에 위풍당당하게 올라선 CIWS-II가 눈길을 사로잡았다. 이 기계의 정체는 바로 '함요동(Ship Motion) 모의 장치'. 이름 그대로, 실제 함정이 거친 파도 위에서 겪는 복합적인 흔들림을 지상에서 그대로 재현하는 장비다.LIG넥스원 관계자는 "이 장치는 '해상 상태 5(Sea State 5)' 이상, 즉 태풍이 부는 수준의 격렬한 파도 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다"며 "CIWS-II는 이 위에서 쉴 새 없이 피칭(앞뒤 흔들림)과 롤링(좌우 흔들림)을 겪으면서도 목표물을 놓치지 않는 안정화 성능을 검증받는다"고 설명했다.이는 실제 작전 중 어떤 악천후 속에서도 시스템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핵심 과정이다. 함정 방어의 최후의 보루 근접방어무기체계 CIWS-II. LIG넥스원 제공 ◆ 2단계: 보이지 않는 적을 쏘다 〈비콘 타워와 모의 표적〉그렇다면 목표물은 어떻게 만들까? 실제 미사일을 쏠 수는 없는 노릇. 해답은 시험장 건너편 낙동강 너머에 우뚝 솟은 70m 높이의 '비콘 타워(Beacon Tower)'에 있었다.이 타워는 CIWS-II를 향해 가상의 '모의 표적 신호'를 발사한다. 이 신호는 실제 대함 미사일이나 드론이 내뿜는 레이더 반사 특성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다.CIWS-II에 탑재된 최첨단 AESA(능동전자주사식위상배열) 레이더는 이 보이지 않는 적을 정확히 탐지하고 식별해야만 한다.특히 LIG넥스원 구미 1하우스와 비콘 타워가 있는 2하우스 사이를정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과학기술 부총리로 승격시켜 인공지능(AI)산업 육성의 컨트롤타워를 맡기기로 했다. 정부 예산의 5% 이상을 투입할 계획인 연구개발(R&D) 예산도 과학기술 부총리가 총괄한다. 인구 위기 대응을 위한 인구부는 따로 신설하지 않고,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기능과 권한을 강화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.3일 정부와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국정기획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개편안을 최근 대통령실에 보고했다. 이재명 정부의 경제 성장 비전 중 ‘AI 3대 강국’은 과학기술 부총리가 맡고, ‘잠재성장률 3% 달성’은 경제부총리가 담당하는 그림이다. 과학기술 부총리직을 신설하는 것은 노무현 정부 이후 17년 만이다. 다만 사회부총리 직제를 유지할지, 유지한다면 교육부와 행정안전부 장관 중 누가 맡을지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.부총리 부처로 승격되는 과기정통부는 AI 고속도로 구축, AI-제조업 융합 생태계 조성, AI 인재 양성, 소버린 AI 개발 등 AI 3대 강국 달성을 위한 정책 과제를 강하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.기획재정부가 쥐고 있는 R&D 예산 심사·배정 권한도 과기정통부가 대부분 넘겨받는다. R&D 투자 규모를 늘리고, 기술 주도 성장을 위해 집행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. 이를 위해 전날 국정기획위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R&D 투자가 정부 총지출의 5% 이상이 되도록 의무화하는 과학기술기본법 일부 개정안을 발의했다.40대 'AI 전문가' 발탁 이어 부총리 격상…AI 컨트롤타워 맡는다AI 고속도로 구축·인재 양성 등 '3대 강국' 도약 이끌 전략 지휘정부가 17년 만에 과학기술부총리를 부활시키기로 한 것은 이재명 정부의 핵심 국정 비전인 ‘인공지능(AI) 3대 강국 진입’을 달성하기 위해선 AI산업 육성과 연구개발(R&D)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. 미래 전략산업을 육성하고 AI 혁신생태계를 구축하는 ‘기술주도 성장’에 대한 이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와 방향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킨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. 과학기술계에선 과학기술부총리가 한국의 미래 성